Playing a video (Stop)
Powered by Haskell (GHC 8.8.4 )

아무래도 답 맞추기 식 공부보다는 더 깊이있는 공부를 하게되고 교사의 입장에서도 아이들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어느정도 학습이 되었는지 수월하게 평가할 수 있다

내용을 정확히 이해하지 않고도 외워서 볼 수 있기 때문에 배움의 깊이가 늘어나지 않을 가능성이 크다. 또한 자칫하면 암기력에 의한 변별이 될 수 있다

내용을 정확히 알지 못한다면 대답할 수 없기 때문에 학습수준을 매우 잘 판단할 수 있다

문제를 풀어야맞출수있는것은 객관식과 다르지만 답이 정해져있어서 운요소를 완전히 차단할순없다

무조건 다 외워야하는 암기력 시험이 될 수 있다

정확한 평가 기준을 세워야하고, 그렇지 않으면 불공정한 시험이 될 수 있다

체점하는데 오래걸리고 생각의 차이로 부분점수, 복수 정답이 나올수 있다

주관식문제의 장점은 찍을수 없고 직접 풀어야 한다는 것 이다. 객관식과 다르게 문제의 답을 알아야 맞출수 있기 때문에 직접 문제를 풀어야한다

찍어서 맞출수없기에 이 문제를 아는지 모르는지 더 정확히 알수있다

그러나 답이 정해진 주관식 평가라면, 객관식과 다를 게 없다고 생각한다.

채점 시간이 오래 걸리고 명확한 답이 없는 경우가 있다

객관식은 자신의 의견에 대해 더 깊게 생각하고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

이 문제에 대해 정확히 아는지 판단이 확실하다

정확히 알고 있는건지 아닌지에 대해 확실히 판단이 된다.

객관식은 몰랐을 때 찍어서 맞추는게 가능하지만, 주관식은 정확한 답을 써야 정답이기때문에 더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다

주관식 평가의 장단점을 파악해 봅시다.

주관식 평가의 유용성(장점)은 노란색 포스트 잍에 쓰고

문제점(단점)은 파란색 포스트 잍에 쓰세요.

주관식 평가의 장단점